리스트내포 2

[Python] 파이썬 - 리스트 내포를 활용하여 에라스토테네스의 체 구현하기

에라스토테네스의 체 자연수를 순서대로 늘어놓은 표에서 합성수를 차례로 지워나가면서 소수 목록을 얻는 알고리즘. 위키피디아에서 가져온 에라스토테네스의 체 알고리즘의 pseudocode는 이런 방식이다. input을 n이라고 할 때, 검사는 1 ~ n이 아닌 1 ~ n의 제곱근까지만 하면 된다. 어차피 n보다 크면 n보다 작은 수로 합성수를 찾아낼 때 이미 걸려지기 때문이다. algorithm Sieve of Eratosthenes is input: an integer n > 1. output: all prime numbers from 2 through n. let A be an array of Boolean values, indexed by integers 2 to n, initially all set t..

[Python] 파이썬 - 리스트 내포 (List comprehension)

리스트 내포 파이썬에서 데이터를 좀 더 간결하고 효율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작성 0부터 14까지 15개의 데이터를 리스트에 추가한다고 할 때, 1. 일반적인 for 문을 통한 리스트 작성 방식 : data = [] for i in range(15): data.append(i) print(data) [0, 1, 2, 3, 4, 5, 6, 7, 8, 9, 10, 11, 12, 13, 14] 2. 리스트 내포를 통한 리스트 작성 방식 : data = [i for i in range(15)] print(data) [0, 1, 2, 3, 4, 5, 6, 7, 8, 9, 10, 11, 12, 13, 14] 리스트 내포를 통해서 리스트 작성하는 것이 좀 더 직관적이다. 또한 if 문과 함께 사용하여 표현하는 것도 가능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