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ython study/Programmers Lv2

[Programmers] 튜플

김쿼드 2023. 8. 29. 12:37

문제 설명

셀수있는 수량의 순서있는 열거 또는 어떤 순서를 따르는 요소들의 모음을 튜플(tuple)이라고 합니다. n개의 요소를 가진 튜플을 n-튜플(n-tuple)이라고 하며,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.

  • (a1, a2, a3, ..., an)

튜플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.

  • 중복된 원소가 있을 수 있습니다. ex : (2, 3, 1, 2)
  • 원소에 정해진 순서가 있으며, 원소의 순서가 다르면 서로 다른 튜플입니다. ex : (1, 2, 3) ≠ (1, 3, 2)
  • 튜플의 원소 개수는 유한합니다.

원소의 개수가 n개이고, 중복되는 원소가 없는 튜플 (a1, a2, a3, ..., an)이 주어질 때(단, a1, a2, ..., an은 자연수), 이는 다음과 같이 집합 기호 '{', '}'를 이용해 표현할 수 있습니다.

  • {{a1}, {a1, a2}, {a1, a2, a3}, {a1, a2, a3, a4}, ... {a1, a2, a3, a4, ..., an}}

예를 들어 튜플이 (2, 1, 3, 4)인 경우 이는

  • {{2}, {2, 1}, {2, 1, 3}, {2, 1, 3, 4}}

와 같이 표현할 수 있습니다. 이때, 집합은 원소의 순서가 바뀌어도 상관없으므로

  • {{2}, {2, 1}, {2, 1, 3}, {2, 1, 3, 4}}
  • {{2, 1, 3, 4}, {2}, {2, 1, 3}, {2, 1}}
  • {{1, 2, 3}, {2, 1}, {1, 2, 4, 3}, {2}}

는 모두 같은 튜플 (2, 1, 3, 4)를 나타냅니다.

 

특정 튜플을 표현하는 집합이 담긴 문자열 s가 매개변수로 주어질 때, s가 표현하는 튜플을 배열에 담아 return 하도록 solution 함수를 완성해주세요.

 

제한사항

  • s의 길이는 5 이상 1,000,000 이하입니다.
  • s는 숫자와 '{', '}', ',' 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.
  • 숫자가 0으로 시작하는 경우는 없습니다.
  • s는 항상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을 올바르게 표현하고 있습니다.
  • s가 표현하는 튜플의 원소는 1 이상 100,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.
  • return 하는 배열의 길이가 1 이상 500 이하인 경우만 입력으로 주어집니다.

 


문제 풀이

접근 전략

일단 문자열을 이렇게 주어진 게 굉장히 스트레스임. 먼저 주어진 문자열에서 [2:-2] 슬라이싱을 통해서 가장 바깥쪽의 중괄호를 빼냄. 그리고 내부의 중괄호들을 제거하고 쉼표로 구분된 문자열을 파싱하는데, split("},{")를 통해서 잘라주면 됨. 이후에는 각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하고, 그 길이에 따라 정렬합니다. 이렇게 하면 가장 첫 번째 원소부터 차례대로 나오게 되는데, 그거부터 정렬된 리스트를 순회하면서, 현재까지 추가된 원소들 중 없는 원소를 찾아 정답 리스트에 추가하면 끝.

 

코드 

def solution(s):
    #문자열 파싱
    new_s = s[2:-2].split("},{")

    #문자열을 숫자로 변환하고 길이에 따라 정렬
    for s_value in new_s :
        parsed_s.append([int(i) for i in s_value.split(",")])
    
    parsed_s = sorted(parsed_s, key = lambda x : (len(x)))

    answer = []

    #정렬된 리스트를 순회하며 정답 리스트에 원소 추가
    for parsed_tuple in parsed_tuples:
        for num in parsed_tuple:
            if num not in answer:
                answer.append(num)
                break

    return answer

 

결과 및 해석

문제가 좀 짜증났다. 중복된 원소가 있을 수 있습니다. ex : (2, 3, 1, 2) 라고 명시해 놓고는,  제한사항에는 s는 항상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을 올바르게 표현하고 있다고 써놨음. 그래서 리스트를 받는것보다 세트로 받는게 더 효율적으로 짤 수 있었을 것 같다. chatGPT 형님이 이렇게 수정하라고 함.

 

def solution(s):
    new_s = s[2:-2].split("},{")

    parsed_tuples = sorted(
        [list(map(int, tuple_str.split(","))) for tuple_str in new_s],
        key=len
    )

    answer = []
    seen = set()  # 중복 체크를 위한 set

    for parsed_tuple in parsed_tuples:
        for num in parsed_tuple:
            if num not in seen:  # set을 사용하여 O(1)로 확인
                seen.add(num)  # set에 추가
                answer.append(num)
                break

    return answer

 

일단 같은 not in 을 쓰더라도 list보단 set에서 훨씬 빠르니깐, 속도도 확실히 줄어든다. break는 안써도 풀리기는 하는데, 굳이 모든 원소를 확인할 필요는 없으니깐 써주는게 더 낫다. sorted 함수에서 key=len 이렇게만 적어도 되는건 또 처음 알기도 했다.

 

 

 

 

'Python study > Programmers Lv2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Programmers] 기능개발  (0) 2023.08.31
[Programmers] 의상  (0) 2023.08.28
[Programmers] 행렬의 곱셈  (0) 2023.08.27
[Programmers] 할인 행사  (0) 2023.08.26
[Programmers] H-index  (0) 2023.08.25